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
4. 세럼 훑어보기(Serum, Se Serum) 이번 포스팅부터 세럼을 이용해서 신디사이저를 훑어보겠다. 전에도 말했다시피 대부분의 신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만 다를 뿐 구성요소는 대동소이 하므로, 세럼만 제대로 공부한다면 어떤 신스를 접하더라도 쉽게 적응할 수 있을 것이다. -만능 세럼(serum). 전 세계 음악 씬에서 가장 많이 사랑받고 널리 쓰이는 소프트웨어 신스(이하 소프트신스) 3대장이 있다. Lennardigital 의 Sylenth 1 (그림 1. 아날로그 질감으로는 최강. U-he사의 신스도 소리가 좋은데 써보진 않음) Native Instruments 의 Massive (그림 2. 진짜 기능이란 기능은 죄다 때려 박아넣었다. 자유도 최강) Xfer 의 Serum (그림 3) 이 중 세럼은 가장 최근에 나온 신스다. 사일렌스 1은 Sub..
3. '이 원리'를 놓치고 신디사이저 백 날 공부해봐야 소용없다. (2) - '이 원리'의 복습. 저번 포스팅에서 '이 원리'가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소개했으므로 복습 차원에서 다시 짚고 넘어가자. 일반적으로 소리는 발생한 직 후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에너지(=정보량)가 변화한다. 소리는 에너지, 즉 정보량을 가지고 있고 이게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한다. 이 원리가 이제는 직관적이고 감각적으로 자연스럽게 느껴진다는 가정 하에 이번 포스팅을 시작하겠다. (꼭 이해하고 오셔야 합니데이~ 꼭!!!) -신스의 발명(중요도 상) 신스가 발명된 이유는 다음 질문으로부터 출발했다. '실제 소리를 똑같이 만들어 볼 순 없을까??' 그게 가능하려면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이 있다. 만들고 싶은 소리의 정보(배음 구조, 볼륨, 소리의 길이 등등)를 알아야 한다. 그 다음 그 소리를 구..
2. '이 원리'를 놓치고 신디사이저 백 날 공부해봐야 소용없다. (1) -이번 포스팅을 시작하기에 앞서. 이번 내용이 신스 튜토리얼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벌써...??) 핵심 중의 핵심이다다다다. 정말 중요하다. 그래서 자칫 잘못하면 공학적인 접근으로 빠질 수도 있기 때문에 다시 한번 이 프로젝트의 목적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입문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 것. 어쩔 수 없이 생소하고 어려운 개념이 나오더라도 독자들이 겁먹지 않게 최대한 노력할 것. 우리는 무그 같은 신스를 직접 제작하려는 게 아닌, 신스 프리셋을 내 작품에 맞게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되는 개념들은 흐름을 위해 가볍게 언급만 하거나 아예 다루지 않을 것이다. (우리의 시간과 에너지는 한정적이다. 괜히 힘 빼지..
1. 신디사이저 튜토리얼 OT(Synthesizer Tutorial OrienTation) (그림출처 :http://m.the-leader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40) -이 강의를 기획한 이유. 옛날부터 정보와 지식은 권력과 부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정보와 지식을 독점하면 그게 곧 부와 권력이었다. 그래서 고위 계층들은 독점한 정보와 지식들을 이용하여 신분사회를 지키며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 해왔다. 시간이 흐르면서 인쇄술이 발전하고 신분사회가 없어짐에 따라 독점된 정보와 지식은 점차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 되었고, 정보와 지식의 평등화는 빠른 속도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우리 사회는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인터넷의 보급과 발전, SNS의 등장으로 이제는 실시간으로 정보가 공유되고 지식은 더욱 빠른 속도로 평등화 되고 있다. 물론 아직도 고..